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13월의 월급 연말정산…올해 달라진 점은?

2020-12-24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13월의 월급 연말정산…올해 달라진 점은?<br /><br /><br />직장인이 1년을 마무리하는 연말정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연말정산이 '13월의 월급'이 되려면 각종 소득·세액 공제 사항을 빠짐없이 챙겨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알아야 돈이 되는 연말정산 주의점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했던 재난 지원금이 소비 진작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재난지원금의 정책효과, 진단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대호 박사와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13월의 보너스라고 불리는 연말정산이 다음 달 15일부터 시작됩니다.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를 살리기 위해 다양한 공제 혜택이 확대됐기 때문에 달리진 세법을 미리 알아봐야 할 텐데 신용카드 공제가 대폭 늘고 공제 한도도 늘어났죠?<br /><br /> 각종 소득·공제를 빠짐없이 챙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칫 실수로 부당공제 가산세를 물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던데 놓치기 쉬운 세액 공제 대상을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매년 떨어지는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는 연말정산에서도 출산 관련 혜택을 확대했습니다. 출산 비용 지원 목적의 공제와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지원도 늘어났다던데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올해 연말정산의 특징 중 하나는 공인인증서가 없고 스마트폰으로도 간단하게 제출할 수 있도록 바뀌었다는 건데요. 절차가 얼마나 간소화됐나요?<br /><br /> 올해 5월 전국민에게 지급됐던 1차 재난지원금이 4조 원의 소비진작 효과를 내고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체감경기 개선에 기여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. 다만 코로나19의 타격이 컸던 대면서비스업종에 대해서는 효과가 미미했다던데 결과에 어떤 의미가 있다 보십니까?<br /><br /> 구체적으로 소비가 어디서 이뤄졌는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. 매출이 가장 크게 늘어난 업종과 효과가 미미했던 업종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정부에선 내년 1월을 목표로 3차재난지원금 지급을 준비하고 있는데요. 1차 재난지원금 효과를 고려했을 때 어떤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까요? 보완책으로 피해업종 종사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요구되고 있는데 충분한 대책이 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